상담자는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 올바른 상담기법을 가져야 합니다.
특히 상담 초기에는 내담자의 비언어적인 것에 관심을 기울이고 경청을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상담기법의 종류인 "관심 기울이기"와 "경청"의 특징과 상담 사례를 살펴 보겠습니다.
1. 관심 기울이기
관심 기울이기란, 비언어적인 태도를 상담자가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언어적인 태도는 시선, 자세와 몸짓, 얼굴표정, 목소리 등을 통해 나타납니다.
상담자가는 내담자의 이러한 비언어적인 표현을 관찰하고 적절한 표정과 언어적 제스처(음, 아하) 반응을 보입니다.
지나치게 내담자를 응시하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눈빛과 내담자 쪽으로 몸을 자연스럽게 기울이고, 편안한 자세를 취합니다.
2. 경청하기
경청은 내담자가 전달하려고 하는 메시지를 상담자가 포착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Egan, 1994)
내담자의 언어적 메시지만을 듣는 것이 아니고 비언어적인 메시지를 함께 관찰하여 진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의미를 깊이 있게 듣는 것입니다.
경청의 효과는, 내담자에게 존중 받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고 감정을 충분히 털어놓을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합니다.
이를 통해서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신뢰관계가 형성 되어 치료동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3. 경청을 방해하는 요인
경청을 방해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선입견이나 편견을 갖고 내담자를 평가하거나 충고를 하는 것입니다.
- 내담자의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향성 등을 섣부르게 판단하는 것입니다.
- 사실적인 내용만 듣는 경우에는 숨겨진 내용이나 감정적인 메시지를 놓칠 수 있습니다.
- 돕고 싶은 마음이 앞서 다음에 해야할 말을 생각하느라 중요한 내용의 초점을 벗어나는 경우입니다.
-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인해, 객관적으로 대화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방해를 받을 때입니다.
상담자는 온전한 관심기울이기와 경청을 하기 위해서는 내담자에게 선입견과 편견을 갖지 않을 수 있는 성숙한 인격을 먼저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담심리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심리학의 주요 개념 (0) | 2023.10.21 |
---|---|
행동주의 상담 이론: 고전적 조건화 / 학습이론 (2) | 2023.10.19 |
정신분석 상담/ 불안과 방어기제 (1) | 2023.10.18 |
정신분석 상담/ 성격 발달 단계와 불안 (2) | 2023.10.17 |
정신분석 상담/ 주요 개념: 의식구조와 성격구조 (2)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