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상담은 지그먼트 프로이드(Sigmund Freud)에 의해 시작된 상담 이론입니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은 인간이 본능과 무의식에 의해 행동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성(Sex)'에 대한 언급이 금기시 되어 시대에 인간의 성과 성충동에 대한 프로이드의 견해는 많은 이슈를 야기했습니다.
그러나, 프로이드의 이론은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원인과 증상의 근원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뛰어난 이론으로 인정 받아 상담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정신분석 이론의 주요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3판) - 학지사 문헌을 참조하여 작성하고 있습니다)
주요개념1: 인간관
1. 인간은 본능으로 부터 지배 받는다
프로이드는 인간을 "신경생물학적 기초"를 둔 존재로 보았습니다. 인간의 모든 행동, 사고, 감정은 생물학적 본능으로 지배받는다고(본능이론) 주장하였습니다.
2. 모든 사고와 행동에 우연은 없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반응과 생각이 그 무엇이라도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사람이 그렇게 하는 것은 반드시 어떤 원인이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무의식의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3. 성격은 생후 6살 동안 결정 된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려면 발달 과정을 알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인간의 기본 성격 구조가 대체로 생후 6년 동안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주요개념2: 본능이론
프로이드는 " 인간은 본능으로 부터 지배 받는다"라는 주장을 "본능이론"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능은 크게 성적 본능, 공격적 본능으로 구분합니다.
1. 성적본능
성적 본능은 성적인 것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야기하는 자극과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말합니다. 인간의 기본 생물학적 욕구인 식욕, 성욕과 같은 욕구를 충족시키는 본능입니다.
2. 공격적 본능
공격적 본능은 적개심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숙달(mastery), 적극적인 정신작용, 주장을 포함합니다.
인간의 발달은 이러한 본능들을 현실에 맞게 조정해 나가며 체화하는 과정입니다.
주요개념3: 의식 구조
프로이드는 인간의 자각수준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부하고 이를 빙산에 비유하여 표현하였습니다. [그림참조]
1. 의식: 빙산의 꼭대기
의식은 개인이 자각하고 있는 것들입니다. 기억, 감정, 공상, 경험, 연상등을 알고 있습니다.
"빙산의 일각" 이라는 말처럼 우리가 자각하고 있는 것은 일각에 불과하며 그 아래 우리가 자각하지 못하는 부분이 훨씬 많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2. 전의식: 물에 비춰 볼 수 있는 물에 잠긴 부분
특정한 순간에는 인식하지 못하지만 노력하면 기억되는 것을 말합니다.
3. 무의식: 빙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볼 수 없는 부분
전혀 의식되지 않지만 인간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행사합니다. 무의식은 꿈, 말실수 등의 여러 증거에서 추론될 수 있습니다.
주요개념4: 성격 구조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 구조를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terego)로 작동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림참조]
1. 원초아(id)
원초아의 '쾌락'의 원칙에 따르며 심리적 에너지의 원천이자 본능이 자리 잡은 곳입니다.. 원초아의 욕구 실현 과정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집니다.
2. 자아(ego)
자아는 '현실'의 원칙을 따르며 논리적인 사고를 하며 환경과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원초아가 맹목적인 욕구 충족을 꾀한다면, 자아는 주관적 욕구와 외부 현실의 균형을 맞춥니다.
3. 초자아(supterego)
초아자는 '이상' 추구의 원칙을 따른다. 주로 부모로부터 영향을 받는 가치관이 자리하며, 도덕에 위배되는 원초아의 충동을 억제하고 자아의 현실적 목표를 이상적 목표로 유도합니다.
프로이트가 주장한 인간관, 본능이론의 의식구조와 성격구조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성격발달의 과정 방어기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담심리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심리학의 주요 개념 (0) | 2023.10.21 |
---|---|
행동주의 상담 이론: 고전적 조건화 / 학습이론 (2) | 2023.10.19 |
정신분석 상담/ 불안과 방어기제 (1) | 2023.10.18 |
정신분석 상담/ 성격 발달 단계와 불안 (2) | 2023.10.17 |
상담기법 종류: 관심 기울이기와 경청 (0) | 2023.10.04 |